[PPE 탐구생활] WORKMAN과 WORKMAN PLUS 방문후기

  • 2025.06.27

안녕하세요. PPE LAB 입니다^^

일본 출장시 워크웨어 브랜드를 방문했는데요~

워크웨어 브랜드, WorkmanWorkman Plus 에 대한

방문 후기와 차이점을 안내 드리고자 합니다~!

 



 

 

1. 브랜드 포지셔닝

WORKMAN 1980년 설립된 일본의 대표적인 작업복 및 산업

안전용품 전문 리테일 브랜드로, 건설·제조·농업 분야의 블루칼라

근로자들을 주고객층으로 삼아왔습니다. 이 회사는 자체 브랜드

(PB) 제품 중심의 강력한 물류 시스템과 재고 효율화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전국

1,000여 개의 매장에서 표준화된 제품군을 무할인으로

판매하는 EDLP(Everyday Low Price) 전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WORKMAN Plus 2018년에 출범한 비교적 새로운

형태의 리테일 브랜드로, 기존 WORKMAN의 기능성과 가성비를

유지하면서도 디자인과 스타일을 강조하여 젊은 층과 화이트칼라

소비자를 타겟으로 하고 있습니다. WORKMAN Plus의 주요

제품군은 캐주얼 및 아웃도어 의류이며, 특히 캠핑, 등산, 바이크 등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수요에 맞추어 디자인된 약 320개의 핵심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쇼핑몰 입점과 함께 소비자의

시선을 끄는 세련된 매장 인테리어와 마케팅 전략을 통해 기존

WORKMAN과의 차별화를 명확하게 추구하고 있습니다.

 

 

2. 제품군 및 고객층 차별화 전략

WORKMAN은 작업현장에서 요구되는 기능성과 내구성을

우선시한 작업복, 보호장갑, 안전화 등 약 1,700여 개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주 고객층은 여전히 건설 및 제조 산업

종사자들이며, 매장 운영 역시 제품 접근성, 빠른 구매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합니다.

 

반면, WORKMAN Plus WORKMAN의 기능성을 유지하되,

일반 소비자와 아웃도어 활동 애호가들을 겨냥하여 디자인과

패션성을 강화했습니다. 특히 매장 내부는 마네킹과 조명을

활용해 소비자에게 스타일과 감성을 동시에 전달하는 쇼핑

경험을 제공하며, 모바일 커머스 및 온라인 판매 채널 확대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6d5b9f0e6bdfc87c43319e9549062126_1750992900_5966.jpg

 


3. 매출 성장 현황 및 추이

최근 WORKMAN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FY2023(2023 3월 기준) 기준 약 1,326 5,100만엔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FY2024에는 약 1,369 3,300만엔으로

전년 대비 3.2% 성장했습니다. FY2025에는 매출 성장률

3.2%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캐주얼 및 아웃도어 의류를

중심으로 한 ‘General’ 부문은 31.5%의 두드러진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WORKMAN Plus의 브랜드 확장이 기존

WORKMAN의 안정적 매출 구조에 중요한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줍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 역시 긍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FY2024에는 영업이익 231 4,200만엔, 순이익 159

8,600만엔을 기록했으며, FY2025에는 각각 영업이익 243

9,400만엔(전년대비 5.4% 증가), 순이익 168 9,200만엔

(5.7% 증가)을 달성하여 꾸준한 수익성 확대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는 해외 생산을 통한 구매 원가 절감 및 효율적

재고 관리 등의 경영 전략이 주효했기 때문입니다.

 

 

4. 글로벌 진출 전략

WORKMAN은 일본 내수 시장의 성공을 발판으로 본격적인

글로벌 브랜드로의 도약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2027년 타이완

진출을 시작으로 해외 시장 확대를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있으며,

타이완을 테스트베드로 삼아 이후 아시아 및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현지 기업과의 프랜차이즈 협력

모델을 구축하고 있으며,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및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해외 소비자 공략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진출을 위한 현지화 전략으로 SNS 마케팅과 브랜드

앰배서더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현지 소비자의 구매력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낼 계획입니다.

최종적으로는 2030년까지 해외 매출이 전체 매출의 10%

차지하도록 하는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6d5b9f0e6bdfc87c43319e9549062126_1750992929_883.jpg

 


5. 전략적 시사점

WORKMAN WORKMAN Plus의 성공적인 브랜드 다각화 및

해외 확장 전략은 PPE 산업 내 기업들에게도 중요한 참고

사례가 될 수 있습니다. WORKMAN은 기존의 핵심 역량인

기능성과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고객층 확장을 위한 브랜드를

성공적으로 런칭했습니다. 이는 국내 PPE 제조사들도 제품 다각화,

소비자 대상별 브랜드 포트폴리오 전략, 디지털 채널 활용을 통한

고객 접근성 확대 등의 전략을 벤치마킹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WORKMAN의 해외 진출 전략에서 보듯이 아시아 시장을

통한 테스트베드 운영, 프랜차이즈 기반의 해외 시장 진입,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해외 고객 확보 등은 국내 PPE 제조사들의 글로벌

전략 수립에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까지 워크웨어 브랜드

워크맨(Workman)워크맨플러스(Workman Plus)

의 방문 후기였습니다 :)



#워크웨어 #PPE #WORKMAN #WORKMAN PLUS